한국의 인기명산 TOP 100
100대 명산은 '2002년 세계 산의 해'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·공표한 것으로, 국립공원 · 도립공원 · 군립공원 지역에서 56개 산이 선정되었고, 생태적 가치가 큰 산과 역사, 문화,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이 포함되어 있다.
[서울특별시 / 경기도 / 인천광역시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명성산 | 922 |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ㆍ이동면,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| 궁예가 울었던 울음산, 황금빛 억새의 산 |
백운산 | 903.1 |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,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|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, 캐러멜 고개 |
화악산 | 1468.3 | 경기도 가평군 북면,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| 강원도와 경기도를 가르는 경기도 제1 고봉 |
감악산 | 674.9 | 경기도 양주시 남면,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,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| 의적 임꺽정이 쉬어 가던 산 |
소요산 | 587.5 | 경기도 동두천시, 포천시 신북면 | 말발굽 모양을 한 경기도의 소금강 |
마니산 | 472.1 |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| 역대 왕들이 하늘 제를 올리던 산 |
운악산 | 934.7 | 경기도 가평군 하면,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| 구름을 뚫고 솟은 경기의 소금강 |
명지산 | 1252.3 | 경기도 가평군 북면ㆍ하면 | 사방으로 산자락을 펼친 산 |
축령산 | 887.1 |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, 경기도 가평군 상면 | 남이장이 심신을 닦던 남이바위가 있는 산 |
북한산 | 835.6 | 서울 강북구ㆍ성북구ㆍ종로구ㆍ은평구, 경기도 고양시ㆍ양주시 | 명산의 3대 조건 구비한 바위의 성채 |
도봉산 | 740.2 | 서울 도봉구,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,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| 거미줄처럼 얽힌 미로의 산 |
관악산 | 632.2 | 서울 관악구ㆍ금천구, 경기도 안양시ㆍ과천시 | 경기 5악의 하나로 경관이 수려하며, 도심지 가까이 위치한 산 |
천마산 | 810.3 |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ㆍ화도읍 | 스키장, 청소년 수련장이 있으며 산 능선이 사방에 뻗어있는 산 |
유명산 | 864 |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,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| 수량이 풍부한 계곡과 기암괴석이 있는 울창한 산 |
용문산 | 1157.1 |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ㆍ옥천면 | 조선 개국으로 다시 태어난 미지의 산 |
[강원도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명성산 | 922 |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,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ㆍ이동면 | 궁예가 울었던 울음산, 황금빛 억새의 산 |
화악산 | 1468.3 |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, 경기도 가평군 북면 | 강원도와 경기도를 가르는 경기도 제1 고봉 |
삼악산 | 655.8 | 강원도 춘천시 서면 | 물, 나무, 골짜기가 연출하는 풍류의 산 |
팔봉산 | 328.2 | 강원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| 산세와 암릉에 두 번 놀라는 산 |
치악산 | 1282 | 강원도 원주시ㆍ횡성군ㆍ영월군 | 골골마다 절의와 은사가 굽이치는 산 |
용화산 | 877.8 |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ㆍ하남면,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| 이야기가 있는 바위 전시장 |
오봉산 | 777.9 |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,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| 동양화 속 다섯 개 바위 |
방태산 | 1445.7 |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ㆍ상남면 | 약수 많고 승지 많은 한국적 유토피아 |
대암산 | 1312.6 | 강원도 양구군 동면,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| 휴전선이 가깝고 각종 희귀생물과 원시림에 가까운 산 |
설악산 | 1708.1 |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, 강원도 인제군 북면ㆍ인제읍, 강원도 양양군 서면ㆍ강현면 | 섬세한 비경 두루 갖춘 산 |
공작산 | 887.4 | 강원도 홍천군 동면ㆍ화촌면 | 암봉과 노송이 한 폭의 동양화로 걸려 있는 산 |
가리산 | 1050.9 |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ㆍ동면,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ㆍ화촌면 | 소양강 비경 담은 신비한 암봉이 있는 산 |
점봉산 | 1426 | 강원도 양양군 서면,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ㆍ인제읍 | 원시림과 계곡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산 |
오대산 | 1565.4 |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, 강원도 홍천군 내면,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| 승려의 희생으로 소실 위기를 모면한 상원사가 있는 산 |
계방산 | 1579.1 | 강원도 평창군 용편면ㆍ진부면, 강원도 홍천군 내면 | 해발은 높되 산세는 유순한 산 |
백덕산 | 1350.1 |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,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,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| 설경 빼어난 천연 원시림의 산 |
두타산 | 1357 |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ㆍ하장면,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| 번뇌를 잠재우는 무릉도원 |
가리왕산 | 1561.9 |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,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ㆍ북평면 | 약초 많은 태백산의 지붕 |
백운산 | 883.5 |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,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|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천혜의 비경 |
덕항산 | 1072.9 |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, 강원도 태백시 하사미동 | 태고적 신비를 간직한 환선굴이 있으며, 언제나 안개에 싸인 환상의 산 |
응봉산 | 999.7 |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ㆍ원덕읍,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| 헤아릴 수 없는 계곡의 향연 |
태화산 | 1027.5 |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,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| 태화산성에서 영월읍을 두루 굽어볼 수 있는 산 |
태백산 | 1566.7 | 강원도 태백시,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| 단군제 올리는 신성한 산 |
[충청남도 / 대전광역시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덕숭산 | 495.2 |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| 기암괴석과 어우러진 경관이 수려한 산 |
칠갑산 | 559.7 |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ㆍ정산면ㆍ장평면 | 손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산 |
계룡산 | 846.5 | 대전광역시,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,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,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| 정감록에서 예언한 왕도가 들어설 산 |
대둔산 | 879.1 |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ㆍ금산군 진산면, 전라북도 완주군 온주면 | 원효대사가 춤추던 천하의 승지 |
서대산 | 905.3 |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ㆍ군북면,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| 견우직녀 전설 품은 충청남도 최고봉 |
천태산 | 714.3 | 충청남도 금산면 제원면,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| 홍건적의 난을 평정한 산 |
[충청북도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금수산 | 1015.8 |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,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| 눈 시린 가을 비단산 |
태화산 | 1027.5 |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,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| 태화산성에서 영월읍을 두루 굽어볼 수 있는 산 |
도락산 | 965.3 |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ㆍ대강면 | 도를 깨닫고 스스로 즐길만한 산 |
소백산 | 1439.7 |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,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| 퇴계 이황이 시 쓰던 산 |
월악산 | 1095.3 |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ㆍ덕산면 | 병화가 미치지 않는 심산유곡 |
희양산 | 996.4 |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,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| 설악산 울산바위에 필적할 거대한 바위산 |
대야산 | 931 |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,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| 신선 노닐던 영험한 산 |
속리산 | 1058.4 |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,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| 속세를 등진 이들의 회심처 |
구병산 | 876.3 |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ㆍ속리산면,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| 아홉 폭 바위 병풍 두른 산 |
서대산 | 905.3 |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,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ㆍ군북면 | 견우직녀 전설 품은 충청남도 최고봉 |
천태산 | 714.3 |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, 충청남도 금산면 제원면 | 홍건적의 난을 평정한 산 |
민주지산 | 1241.7 |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ㆍ용화면,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,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| 화전민 터가 있는 원시 숲 |
[전라북도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대둔산 | 879.1 | 전라북도 완주군 온주면,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,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| 원효대사가 춤추던 천하의 승지 |
적상산 | 1030.6 |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| 단풍이 아름다운 산 |
민주지산 | 1241.7 |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,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ㆍ용화면,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| 화전민 터가 있는 원시 숲 |
모악산 | 795.2 |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,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, 전주시 완산구 | 호남 4경의 하나 |
운장산 | 1125.8 |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ㆍ부귀면ㆍ정천면,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| 금강과 만경강의 발원지 |
덕유산 | 1614.2 | 전라북도 무주군ㆍ장수군, 경상남도 거창군ㆍ함양군 | 첩첩산중, 덕이 겹친 큰 산 |
변산 | 508.6 |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ㆍ상서면ㆍ진서면 | 산, 호수, 바다의 3절미를 갖춘 서해의 산 |
내장산 | 763.5 |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,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ㆍ쌍치면 | 불타는 호남의 금강 |
마이산 | 687.4 |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ㆍ마령면 | 음양의 궁합을 맞춘 암수 봉우리 |
장안산 | 1237.4 |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, 계남면 | 여름엔 계곡, 가을엔 억새로 유명한 산 |
선운산 | 334.7 |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ㆍ심원면ㆍ해리면 | 구름 속에 선을 닦는 동백산 |
백암산 | 741.2 |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,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| 층꽃나무 무리 짓는 단풍의 명산 |
방장산 | 733.6 |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,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, 전라남도 장성군 | 고창 벌판에 우뚝 선 호남정맥의 망대 |
강천산 | 585.8 |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,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| 국내 최초의 군립공원 |
추월산 | 731.2 |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,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| 마르지 않는 약수터를 품은 산 |
지리산 | 1915.4 | 전라북도 남원시, 전라남도 구례군, 경상남도 하동군ㆍ산청군ㆍ함양군 | 백두의 끝, 역사의 피와 눈물이 함께 묻혀있는 이상향 |
[전라남도 / 광주광역시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방장산 | 733.6 | 전라남도 장성군,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ㆍ정읍시 입암면 | 고창 벌판에 우뚝 선 호남정맥의 망대 |
백암산 | 741.2 |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,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| 층꽃나무 무리 짓는 단풍의 명산 |
추월산 | 731.2 |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,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| 마르지 않는 약수터를 품은 산 |
강천산 | 585.8 |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,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| 국내 최초의 군립공원 |
지리산 | 1915.4 | 전라남도 구례군, 경상남도 하동군ㆍ산청군ㆍ함양군, 전라북도 남원시 | 백두의 끝, 역사의 피와 눈물이 함께 묻혀있는 이상향 |
무등산 | 1186.8 | 광주광역시 동구,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ㆍ화순군 이서면 | 빛고을 광주의 얼굴 |
조계산 | 887.3 |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ㆍ송광면 | 산세가 부드러운 산 |
백운산 | 1222.2 |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ㆍ옥룡면ㆍ진상면ㆍ다압면,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| 또아리봉에서 바라보는 낙조가 아름다운 산 |
깃대봉 | 367.8 | 전라남도 신안 흑산면 홍도 | 섬 전체가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다도해의 보석 |
월출산 | 810.7 |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ㆍ군서면ㆍ학산면,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| 웅장하고 섬세한 기암괴석이 있는 산 |
두륜산 | 700 |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ㆍ북일면ㆍ북평면ㆍ현산면 | 삼재가 들지 않는 천하의 요새 |
천관산 | 724.3 |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ㆍ대덕읍 | 하늘을 찌르는 듯한 산 |
팔영산 | 606.9 |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| 대마도를 조망하는 천리안 같은 산 |
[경상북도 / 대구광역시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소백산 | 1439.7 |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,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| 퇴계 이황이 시 쓰던 산 |
청량산 | 869.7 |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| 아름다운 관광자원의 보고 |
태백산 | 1566.7 |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, 강원도 태백시 | 단군제 올리는 신성한 산 |
응봉산 | 999.7 |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,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ㆍ원덕읍 | 헤아릴 수 없는 계곡의 향연 |
희양산 | 996.4 |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,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| 설악산 울산바위에 필적할 거대한 바위산 |
속리산 | 1058.4 |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,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| 속세를 등진 이들의 회심처 |
대야산 | 931 |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,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| 신선 노닐던 영험한 산 |
성인봉 | 986.5 |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서면ㆍ북면 | 울릉도의 최고봉으로 도내 하천의 수원을 이루고, 원시림이 잘 보전된 산 |
구병산 | 876.3 |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,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ㆍ속리산면 | 아홉 폭 바위 병풍 두른 산 |
주흘산 | 1108.4 |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| 삼각산과 다툴 만큼 빼어난 명산 |
황장산 | 1078.9 |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| 옛 대궐 지었던 황장목 주산지 |
황악산 | 1111.4 |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| 학이 먼저 알아본 국민 관광지 |
주왕산 | 722.1 |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ㆍ부동면,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ㆍ달산면 | 후주천왕의 은둔지 |
금오산 | 976.5 | 경상북도 구미시,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,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| 마애보살 입상이 지키는 남숭산 |
팔공산 | 1192.3 |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,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, 대구광역시 동구 | 작은 국보급 문화재 전시장 |
내연산 | 711.3 |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ㆍ청하면ㆍ죽장면,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| 신비의 거울을 묻은 흙산 |
민주지산 | 1241.7 |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,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ㆍ용화면,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| 화전민 터가 있는 원시 숲 |
가야산 | 1432.6 | 경상북도 성주군, 경상남도 합천군ㆍ거창군 | 연꽃으로 피어오른 불교의 성지 |
비슬산 | 1083.4 |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ㆍ유가면ㆍ가창면,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| 대구 남쪽에 품 넓게 우뚝 솟은 산 |
운문산 | 1195.1 |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,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| 영남 알프스 전망이 일품인 운문사의 산 |
가지산 | 1240.9 | 경상북도 청도군, 울산광역시, 경상남도 밀양시 | 영남 알프스의 최고봉 |
남산 | 495.1 |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ㆍ내남면 | 신라의 천년 역사가 숨 쉬는 산 |
[경상남도 / 울산광역시 / 부산광역시]
대상지 | 높이(m) | 소재지 | 특징 |
덕유산 | 1614.2 | 경상남도 거창군ㆍ함양군, 전라북도 무주군ㆍ장수군 | 첩첩산중, 덕이 겹친 큰 산 |
가야산 | 1432.6 | 경상남도 합천군ㆍ거창군, 경상북도 성주군 | 연꽃으로 피어오른 불교의 성지 |
황석산 | 1192.5 | 경상남도 함양군 | 암릉과 억새가 조화로운 오지의 산 |
황매산 | 1113.1 |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ㆍ가회면, 경상남도 산청군 차황면 | 목장 길을 따라 봉우리가 있는 산 |
화왕산 | 757.7 |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| 봄에는 철쭉 화원, 가을에는 억새꽃밭이 되는 산 |
운문산 | 1195.1 |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,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| 영남 알프스 전망이 일품인 운문사의 산 |
가지산 | 1240.9 | 울산광역시, 경상남도 밀양시, 경상북도 청도군 | 영남 알프스의 최고봉 |
신불산 | 1159.3 |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ㆍ상북면 | 광활한 억새밭이 펼쳐진 영남 알프스 |
재약산 | 1119.1 |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ㆍ산내면,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| 하늘거리는 억새가 아름다운 산 |
지리산 | 1915.4 | 경상남도 하동군ㆍ산청군ㆍ함양군, 전라남도 구례군, 전라북도 남원시 | 백두의 끝, 역사의 피와 눈물이 함께 묻혀있는 이상향 |
천성산 | 920.2 |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, 상북면, 웅상읍 | 금강산의 축소판 같은 산 |
금정산 | 800.8 | 부산광역시 금정구ㆍ북구, 경상남도 양산시 | 부산 시민의 1일 등산 코스 |
연화산 | 524 |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ㆍ영현면 | 병을 고치는 신비의 옥천 샘 |
무학산 | 761.4 | 경상남도 창원시 교방동 | 남쪽 바다 굽어보는 창원의 진산 |
금산 | 704.9 |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ㆍ이동면ㆍ삼동면 | 이성계가 비단으로 덮겠다던 산 |
출처: 네이버 시사상식사전